대한민국 제22대 국회

제22대 대한민국 국회
제21대 제23대
개요
입법부대한민국 국회
선거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
정부윤석열 정부(2020년 5월 30일~)
의원수300명(지역구: 254석, 비례대표 46석)
회기
임기2024년 5월 30일 (2024-05-30)~

제22대 대한민국 국회대한민국 국회의 22번째 회기이다. 2024년 5월 30일 임기를 시작하였으며,[1][2] 임기는 4년이다. 여·야의 원 구성 협상을 거쳐 개원할 예정이다.

2024년 4월 10일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A]를 통하여 선출된 국회의원으로 구성된다. 의석 수는 모두 300석(지역구 254석, 비례대표 46석)[B]이다.

2024년 5월 30일 임기 시작일 기준으로 여소야대[C]이다. 여당인 국민의힘의 의석 수는 108석[D], 제1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의석 수는 171석[E]이다. 3당은 조국혁신당으로 12석이다. 기타 개혁신당이 3석, 진보당이 3석, 새로운미래 1석, 기본소득당 1석, 사회민주당이 1석이다.

국회의장단

국회의장단은 국회의장[F] 1명과 국회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다.

전반기 국회의장단

2024년 5월 16일, 더불어민주당제22대 총선 당선자총회를 열고 당내 경선을 통하여, 5선 우원식 의원(지역구: 서울 노원구 을)을 국회의장 후보자로, 4선 이학영 의원(지역구: 경기 군포시)을 더불어민주당몫 국회부의장 후보자로 각각 선출하였다.[4][5]

국회의장단을 선출할 첫 본회의가 2024년 6월 5일로 예정되었다.[1][2]

정당별 의석수 구성

대한민국 국회 정당별 의석수(편집)
구분 정당 제22대 총선 결과 2024년 5월 30일 기준
지역구 비례대표 합계 지역구 비례대표 합계
교섭단체 더불어민주당 161석 - 161석 161석 10석 171석
국민의힘 90석 - 90석 90석 18석 108석
비교섭단체
조국혁신당 - 12석 12석 0석 12석 12석
개혁신당 1석 2석 3석 1석 2석 3석
진보당 1석 - 1석 1석 2석 3석
새로운미래 1석 0석 1석 1석 0석 1석
기본소득당 0석 - 0석 0석 1석 1석
사회민주당 - - - 0석 1석 1석
국민의미래 - 18석 18석 국민의힘으로 합당
더불어민주연합 - 14석 14석 더불어민주당으로 합당
재적 254석 46석 300석 254석 46석 300석

의석 변동

22대 국회 당적 변동 사항
날짜 이름 소속정당 선거구 사유 정당별
증감
정당별 의석수
2024년 4월 22일 국민의미래국민의힘 비례대표 합당 ±18 더불어민주당 161석
국민의힘 108석
더불어민주연합 14석
조국혁신당 12석
개혁신당 3석
새로운미래 1석
진보당 1석
2024년 4월 25일 용혜인 더불어민주연합새진보연합 비례대표 더불어민주연합 제명
새진보연합 입당
±4 더불어민주당 161석
국민의힘 108석
더불어시민당 10석
조국혁신당 12석
개혁신당 3석
진보당 3석
새로운미래 1석
새진보연합 1석
사회민주당 1석
한창민 더불어민주연합사회민주당 더불어민주연합 제명
사회민주당 입당
정혜경
전종덕
더불어민주연합진보당 더불어시민당 제명
진보당 입당
2024년 4월 25일 더불어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합당 ±10 더불어민주당 171석
국민의힘 108석
조국혁신당 12석
개혁신당 3석
진보당 3석
새로운미래 1석
새진보연합 1석
사회민주당 1석

같이 보기

각주

내용

  1. 2024년 4월 10일, 제22대 국회의원 총선거 결과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지역구 161석과 비례연합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 14석으로, 175석으로 단독 과반 의석을 확보하였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지역구 90석을 얻었으며, 비례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를 통하여 18석의 비례대표를 얻어 108석이다. 비례대표 후보만 낸 조국혁신당이 12석으로 제3당이다. 기타 개혁신당이 3석(지역구 1, 비례대표 2), 진보당이 지역구 1석, 새로운미래가 지역구 1석을 얻었다.
  2. 제21대 국회와 대비하여, 지역구는 1석이 늘고, 비례대표는 1석이 줄어들었다.
  3. 여소야대(與黨野大):여당(與黨)이 작고(小), 야당(野黨) 큼(大). 상대적으로 여당의 의석 수가 적고, 야당·무소속 의석 수가 많은 상태를 가리킨다.
  4. 국민의힘(90석)이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18석)를 합당
  5. 더불어민주당(161석)과 선거연합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10) 합당. ※더불어민주연합의 당선자는 본디 14명이다. 선거 이후에 더불어민주당(8)과 시민사회 몫 인사(2)는 그대로 남기로 하였으며, 진보당(2), 새진보연합(2)[※기본소득당(1), 사회민주당(1)] 등의 인사 4명은 국회의원직을 유지하고 본 소속정당으로 갈 수 있도록 제명 처리되었다.
  6. 국회의장국회법 제20조의2(의장의 당적 보유 금지)에 따라 의장 당선 다음 날부터 재직하는 기간 동안은 당적을 가질 수 없다.[3]

출처

  1. 계승현 (2024년 5월 30일). “22대 국회 오늘 개원…내달 5일 '의장단 선출' 첫 본회의”. 《연합뉴스》. 네이버 뉴스(보존) (서울). 2024년 5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5월 30일에 확인함. 
  2. 박찬근 (2024년 5월 30일). “22대 국회 오늘 개원…다음달 5일 '의장단 선출' 첫 본회의”. 《SBS뉴스》. 네이버 뉴스(보존). 2024년 5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5월 30일에 확인함. 
  3. u.a. (2014년 5월 30일). “국회법 제20조의2”. 《국가법령정보시스템》. [시행 2014. 5. 30.] [법률 제11453호, 2012. 5. 25., 일부개정]. 
  4. 홍지인; 오규진 (2024년 5월 16일). “22대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 우원식…"민심 따라 국회 할일 해야"(종합)”. 《연합뉴스》 (서울). 2024년 5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5월 17일에 확인함. 
  5. 김지인 (2024년 5월 16일). “22대 전반기 국회의장 후보에 우원식, 부의장 이학영 선출”. 《MBC뉴스》. 네이버 뉴스(보존). 2024년 5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5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 대한민국 국회 공식홈페이지
  • 국회법
  • v
  • t
  • e
역대 대한민국 국회
제6공화국
2008년 선거
제18대
2012년 선거
제19대
2016년 선거
제20대
2020년 선거
제21대
2024년 선거
제22대
의원명부
(선거구별·정당별)
의원명부
(선거구별·정당별)
의원명부
(선거구별·정당별)
의원명부
(선거구별·정당별)
의원명부
(선거구별·정당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