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플러-37B

케플러-37B는 케플러-37이란 항성을 돌고 있는 행성이다.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행성들 중에선 가장 작은 외계행성에 속한다.

특징

케플러-37B는 거문고자리케플러-37 궤도를 도는 외계행성(exoplanet)이다. 2013년 2월에 새로이 발견된 외계행성이며 현재 주계열성 주변에서 발견된 행성 중에서 가장 작은 행성으로 반지름은 지구위성인 달보다 약간 크고 태양계에서 가장 작은 행성인 수성보다 더 작은 행성이다. 그 측정치는 그것의 질량을 제한하지 않지만, 달의 몇 배 이상의 질량은 비현실적으로 높은 밀도를 준다. 케플러-37B는 지구보다 반지름과 질량이 작은 외행성인 해저 지구형 행성이다. 표면의 온도는 모항성과 너무 가까워 섭시 700 K(427 °C, 800 °F)이다. 이 때문에 분위기가 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것의 반지름은 약 0.35이다. REarth (약 2,400 mi의 직경)은 달(0.27)보다 큰 3900 km이다. REarth), 그러나 수성(0.38)보다 약간 작다. REarth) 크기가 작기 때문에 케플러-37b는 표면이 단단한 암석 행성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게다가 그것은 표면에 액체 상태의 물을 지지하기에는 너무 뜨겁다. 이 행성은 총 4개의 행성이 궤도를 도는 케플러-37이라는 이름의 태양과 비슷한 (G형) 별 주위를 돈다. 별의 질량은 0.80이다. M☉ 반경 0.79 R그것은 5417K의 온도를 가지고 있고 56억 6천만년 된 것이다☉. 이에 비해 태양은 46억 년이고 온도는 5778 K이다. 이 별의 겉보기 크기로 본다면 즉 지구의 관점에서 얼마나 밝게 나타나는가는 9.71이다. 따라서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을 정도로 어렴풋하다. 케플러-37B는 모항성의 궤도를 약 1500만 km(930만 마일)로 돌고 공전 기간은 약 13일이며 0.1AU(수성으로부터 태양까지의 거리 약 0.38AU와 비교한다.)이다. 이 계의 바깥쪽 두 행성은 케플러-37B의 기간과 함께 8:5와 3:1 공진도의 1% 이내의 궤도 주기를 가진다. 케플러-37B는 다른 두 행성인 케플러-37C케플러-37D와 함께 항성 트랜지트를 관측하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에 의해 발견되었다. 케플러-37B의 트랜지트를 관찰한 후 천문학자들은 그것을 모항성의 크기와 비교해야 했다. 별의 크기는 별자리론을 사용하여 얻었으며 케플러-37은 현재 이 과정을 사용하여 연구된 가장 작은 별이다. 이를 통해 케플러-37B의 크기를 "극도의 정확도로" 결정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 케플러-37B는 태양계 밖에서 주계열성 주변에서 발견된 가장 작은 행성이다. 케플러-37B의 검출은 짧은 궤도 주기와 상대 밝기, 숙주별 저활성화 등으로 밝기 데이터가 빠르게 평균화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케플러-37B의 발견으로 NASA 아메스 연구소의 과학자 잭 리사워는 "이러한 작은 행성들이 흔하다"고 추측하게 되었다. 모항성과 가까워서 행성의 온도가 높아 생명체는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며 액체 상태의 물은 존재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구와 같이 지구형 행성인 것으로 보인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