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 여자 오픈 챔피언십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
대회 정보
지역웨스트버지니아주 찰스턴 (2019년)
창설1946년
코스찰스턴 컨트리 클럽 (2019년)
72
길이6,693 야드 (6,120 m)
주최USGA
투어LPGA 투어
형식스트로크 플레이
상금5,000,000 달러
개최 월5월 - 6월
대회 기록
합계272, 안니카 소렌스탐 (1996)
272, 줄리 잉크스터 (1999)
272, 전인지 (2015)
점수–16, 줄리 잉크스터 (1999)
최근 우승자
대한민국 이정은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United States Women's Open Championship) 또는 U.S. 여자 오픈은 전미 골프 협회(United States Golf Association)가 주최하는 13개의 골프 대회 중 하나이자, 5개의 LPGA 투어 메이저 대회 중 하나이다.

개관

1946년에 창설된 US 여자 오픈은 LPGA가 1950년에 설립된 이후 LPGA가 인정한 유일한 메이저 대회였다. 여자 프로 골프 선수 협회(Women's Professional Golfers Association; WPGA)가 처음 3년 동안 대회를 운영하였고, 다음 4년 동안 LPGA가 운영하다가 1953년에 USGA 대회가 되었다.[1] 일반적으로는 7월 초에 개최되며, LPGA 시즌의 세 번째 메이저 대회이다. 이 대회는 여자 골프에서 가장 높은 상금을 가지고 있다.

US 오픈과 달리 US 여자 오픈은 세계적으로 메이저 대회로 인정되지는 않는다. 레이디스 유러피언 투어(Ladies European Tour; LET)는 미국에서 열리는 세 개의 메이저 대회를 인정하지 않으며, JLPGA 투어는 자체적인 메이저 대회를 가지고 있다. 다만 LPGA 투어가 여자 골프에서 지배적인 투어이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의 중요성은 제한적이다.

2007년 외국인 선수의 숫자가 처음으로 미국인 선수를 넘었다.[2] 2008년 대회에서 19세의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 박인비가 우승하였으며, 박인비는 최연소 우승자가 되었다.

역대 우승자

연도 우승자 국적 점수 2위와의 차이 총상금
($)
우승자
상금 ($)
2020 김아림 대한민국 281 −3 1타 5,500,000 1,000,000
2019 이정은6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78 −6 2타 5,500,000 1,000,000
2018 에리야 쭈타누깐 태국 태국 277 −11 플레이오프 5,000,000 900,000
2017 박성현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77 −11 2타 5,000,000 900,000
2016 브리트니 랭 미국의 기 미국 282 −6 플레이오프 4,500,000 810,000
2015 전인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72 −8 1타 4,500,000 810,000
2014 미셸 위 미국의 기 미국 278 −2 2타 4,000,000 720,000
2013 박인비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80 −8 4타 3,250,000 585,000
2012 최나연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81 −7 4타 3,250,000 585,000
2011 유소연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81 −3 플레이오프 3,250,000 585,000
2010 폴라 크리머 미국의 기 미국 281 −3 4타 3,250,000 585,000
2009 지은희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84 E 1타 3,250,000 585,000
2008 박인비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83 −9 4타 3,250,000 585,000
2007 크리스티 커 미국의 기 미국 279 −5 2타 3,100,000 560,000
2006 안니카 소렌스탐 (3) 스웨덴의 기 스웨덴 284 E 플레이오프 3,100,000 560,000
2005 김주연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87 +3 2타 3,100,000 560,000
2004 멕 맬런 (2) 미국의 기 미국 274 −10 2타 3,100,000 560,000
2003 힐러리 렁키 미국의 기 미국 283 −1 플레이오프 3,100,000 560,000
2002 줄리 잉크스터 (2) 미국의 기 미국 276 −4 2타 3,000,000 535,000
2001 카리 웹 (2)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273 −7 8타 2,900,000 520,000
2000 카리 웹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282 −6 5타 2,750,000 500,000
1999 줄리 잉크스터 미국의 기 미국 272 −16 5타 1,750,000 315,000
1998 박세리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290 +6 플레이오프 1,500,000 267,500

역대 한국인 챔피언[3]

각주

  1. “U.S. Women's Open: History”. USGA. 2013.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6월 23일에 확인함. 
  2. “U.S. Women's Open Notebook”. PGA 투어. 2007년 6월 26일. 2013년 3월 6일에 확인함. 
  3. 김경무 (2017년 7월 17일). ““박성현 US 여자오픈 우승 ‘드디어 해냈다’”. 한겨레. 

외부 링크

  • (영어)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공식 웹사이트
  • v
  • t
  • e
US 여자 오픈 챔피언십 우승
  • 1946 패티 버그∞
  • 1947 베티 제임슨
  • 1948 베이브 디드릭슨
  • 1949 루이스 삭스
  • 1950 베이브 디드릭슨
  • 1951 베치 롤스
  • 1952 루이스 삭스
  • 1953 베치 롤스†
  • 1954 베이브 디드릭슨
  • 1955 페이 크로커‡
  • 1956 캐시 코넬리우스†
  • 1957 베치 롤스
  • 1958 미키 라이트‡
  • 1959 미키 라이트
  • 1960 베치 롤스
  • 1961 미키 라이트
  • 1962 멀 브리어
  • 1963 메리 밀스‡
  • 1964 미키 라이트†
  • 1965 캐럴 맨
  • 1966 샌드라 스푸지치
  • 1967 캐서린 라코스테아‡#
  • 1968 수지 버닝‡
  • 1969 도나 카포니
  • 1970 도나 카포니‡
  • 1971 조앤 카너‡
  • 1972 수지 버닝
  • 1973 수지 버닝
  • 1974 샌드라 헤이니
  • 1975 샌드라 파머
  • 1976 조앤 카너†
  • 1977 홀리스 스테이시
  • 1978 홀리스 스테이시
  • 1979 제릴린 브리츠
  • 1980 에이미 올컷
  • 1981 팻 브래들리
  • 1982 재닛 앤더슨
  • 1983 잰 스티븐슨
  • 1984 홀리스 스테이시
  • 1985 캐시 구아다니노
  • 1986 제인 게디스†
  • 1987 로라 데이비스
  • 1988 리젤로테 노이만
  • 1989 베치 킹
  • 1990 베치 킹
  • 1991 멕 맬런
  • 1992 패티 시핸†
  • 1993 로리 메르텐
  • 1994 패티 시핸
  • 1995 안니카 소렌스탐
  • 1996 안니카 소렌스탐
  • 1997 앨리슨 니콜라스
  • 1998 박세리
  • 1999 줄리 잉크스터
  • 2000 캐리 웨브
  • 2001 캐리 웨브
  • 2002 줄리 잉크스터
  • 2003 힐러리 렁키†
  • 2004 멕 맬런
  • 2005 김주연
  • 2006 안니카 소렌스탐
  • 2007 크리스티 커
  • 2008 박인비
  • 2009 지은희
  • 2010 폴라 크리머
  • 2011 유소연
  • 2012 최나연
  • 2013 박인비
  • 2014 미셸 위
  • 2015 전인지
  • 2016 브리트니 랭†
  • 2017 박성현
  • 2018 에리야 쭈타누깐
  • 2019 이정은
  • 2020 김아림
  • 2021 사소 유카
† 플레이오프 우승; ‡ 처음부터 끝까지 1등을 지속한 우승; # 아마추어 선수로서 우승; ∞ 메치플레이 우승